아파트

2025년 세대수별 아파트 건축비 분석! '2025년 건물신축가격기준액 고시' 기준으로!

탐험가 단 2025. 4. 14. 12:32
반응형
반응형

2025년 6월 1일부터 시행되는 행정안전부의 건물신축가격기준액 고시에 따라, 1000세대부터 3000세대까지 세대수별 아파트 건축비 예시를 구성해 보았습니다.

본 내용은「행정안전부 고시 제2024-104호」를 참고하였으며, 아파트 정비사업 또는 신축 기획 시 실질적 지표로 활용될 수 있도록 구성해 보았습니다.

1️⃣ 기준 설명 : 2025년 건물신축가격기준액이란?

행정안전부는 매년 「지방세법 」에 따라 각종 건물의 신축 기준단가를 고시합니다. 이 기준은 신축 건축물의 과세표준 산정 기준으로 사용되며, 통상 건설업계에서도 예비비용 산출 및 사업성 검토 시 참고 기준으로 폭넓게 활용됩니다.

2025년 고시 기준에 따르면, 일반 공동주택(철근콘크리트 구조)의 단위면적당 기준액은 약 2,300,000원/㎡ 내외로 반영되며, 세대 수나 규모, 지역에 따라 실제 공사비에는 차이가 발생합니다.

2️⃣ 세대수별 아파트 건축비 시뮬레이션

다음 표는 평균 세대상 건축면적을 105㎡ (전용 85 ㎡ + 공급면적 포함)으로 가정하고, 세대수별 건축비 추정치를 정리한 것입니다.

세대수 평균 세대당 면적(㎡) 단위면적당 기준가(원/㎡) 세대당 건축비(원) 총 건축비(원)
1,000세대 105㎡ 2,300,000 241,500,000 241.5억
1,200세대 105㎡ 2,250,000 236,250,000 283.5억
1,500세대 105㎡ 2,200,000 231,000,000 346.5억
1,800세대 105㎡ 2,150,000 225,750,000 406.3억
2,000세대 105㎡ 2,1000,000 220,500,000 411억
2,500세대 105㎡ 2,050,000 215,250,000 538.1억
3,000세대 105㎡ 2,000,000 210,000,000 630억

※ 상기 단위면적당 기준가는 세대 수가 많아질수록 규모의 경제(대단지 시공단가 절감)를 가정한 예시입니다. 실제 설계 난이도, 부대공사 포함 여부 등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왜 세대수에 따라 단가가 다를까?

공사 단기 절감 효과 : 대단지일수록 자재 구매, 시공 효율성 증가

설계 / 관리 / 감리비 분산 : 고정비가 세대 수로 나뉘어 감소

시공사 입찰 경쟁 심화 : 대규모 단지는 경쟁 입찰로 단가 하락 가능성 높음

이로 인해 세대수라 많아질수록 세대당 건축비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4️⃣ 사업성 분석 시 어떻게 활용할까?

정비사업 조합 : 기초적인 건축비 시뮬레이션 자료로 활용 가능

소규모 신축 디벨로퍼 : 기획단계에서 대략적인 원가 분석에 유용

투자자/실수요자 : 분양가의 적정성을 판단할 때 참고 지표로 활용 가능

이와 같은 기준을 활용하면, 추정 공사비 외에도 평균 분양가 대비 수익성 판단, 조합원 분담금 추산까지 1차 시뮬레이션이 가능합니다.

✅ 건축비 추정, 기준 데이터로 판단하자.

2025년 고시된 건물신축가격기준액은 공공/민간을 막론하고 건축비 추정 기준의 핵심 레퍼런스가 됩니다. 아파트 사업을 추진하거나 투자 계획 중이라면, 막연한 추정보다는 공식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합리적인 분석이 필요합니다. 위 표와 같은 시뮬레이션을 기초로 세부 검토에 나서는 것이 바람직해요.

 

🔍 "2025년 건물신축가격기준액 고시"는 여기서 확인해보세요!

https://www.mois.go.kr/frt/bbs/type001/commonSelectBoardArticle.do?bbsId=BBSMSTR_000000000016&nttId=114745

 

2025년 건물신축가격기준액 고시(행정안전부 고시 제2024-104호, 2024.12.27. 개정) | 행정안전부> 정

행정안전부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www.mois.g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