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 요약
공공재개발사업에서 이주비는
기존 원주민이 임시 거처로 옮길 때 받는 핵심 지원금입니다.
하지만 "이주비가 얼마나 나오는지", "대출한도는 어떻게 정해지는지"는 현장에서도 혼동이 많은 부분이죠.
이번 글에서는 이주비의 산정 기준, 실제 수령 사례, 조건별 차이를 정확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 이주비란?
이주비는 강제이주를 수반하는 재개발 과정에서
원주민의 주거이전 비용을 지원하기 위해 제공되는 금전입니다.
보조금이 아닌, '이주비 대출' 형태로 지급되는 경우가 일반적이에요.
💰실제 이주비 산정 기준
항목 | 내용 |
기준금액 | 감정평가액을 기준으로 함 |
대출한도 | 보통 감정가의 최대 70~80% 수준 |
상환시점 | 입주 시점 또는 이주 후 일정기간 내 상환 조건 |
금리 | 공공기관 협약금리 적용 (변동 가능) |
✅예시
감정가 5억짜리 주택 소유자
→ 최대 이주비는 3.5~ 4억 수준 가능
→ 실제는 대출심사 및 협약 조건에 따라 달라짐
📌 SH vs LH vs 민간 재개발 비교
구분 | SH | LH | 민간 재개발 |
대출주제 | SH공사 or 협약 금융사 | LH + 제휴 금융사 | 시공사 + 조합 PF대출 |
대출한도 | 감정가 기준 80%까지 가능 | LH 가이드 따름 | 조합 재량 (70~80%) |
상환조건 | 입주 시 일괄 상환 or 중도상환 | 유사함 | 일부는 중도상환 요구 |
이자부담 | 협약금리 적용 (연2~3%) | 유사 | PF 금리 반영 → 5~7% 가능 |
⚠️자주 묻는 오해 Q&A
이주비는 그냥 주는 돈인가요?
아닙니다. 대부분 대출입니다. 무상지원이 아니에요!
세입자도 이주비 받을 수 있나요?
경우에 따라 임시 거주지 제공이나 소액지원금이 있지만, 이주비 대출은 소유자 기준으로 제공됩니다!
감정평가액은 언제 확정되나요?
보통 관리처분인가 이후, 조합 또는 공공기관이 실시합니다.
🧾실제 수령 사례 요약
사례 | 위치 | 감정가 | 실제 이주비 |
서울 A구역 단독주택 | 도심재개발 | 5.8억 | 약 4.1억 |
수도권 B구역 아파트 | 공공재개발 | 4.5억 | 약 3.3억 |
지방 C구역 연립주택 | LH 재개발 | 3.2억 | 약 2.4억 |
🧩참고 : LH, SH 공사 홈페이지 및 공공협의회 회의록 근거 작성
📌 결론 : 이주비, 꼭 체크해야 할 3가지
1️⃣ 감정가 기준이 다르다 → 인근 시세와 다를 수 있음!
2️⃣ 대출이자발생 → 실제 부담 고려해야 함!
3️⃣ 지자체 및 사업방식에 따라 차이 있음 → SH vs LH vs 민간은 다르게 적용
📚공공 재개발 이주비에 대해 알아보자
반응형
'아파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주비만 믿다간 위험? 공공재개발 이주비의 숨은 리스크 총정리! (0) | 2025.05.03 |
---|---|
[3편] 1000세대 vs 2000세대, 재건축 단지 규모에 따라 수익성은 얼마나 달라질까? (0) | 2025.05.03 |
[2편] 조합원 vs 일반분양, 누가 더 벌까? 재건축 수익률 구조 완전 비교 (0) | 2025.05.03 |
[1편] 재건축 분담금은 어떻게 계산될까? 구조부터 공식까지 완벽 해석! (0) | 2025.05.02 |
[심화] 기부채납 vs 전력계통영향평가, '공공기여 현금화' 시대가 온다 (0) | 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