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심화편] 기부채납과 전력계통영향평가, 같은 부담인가 다른 방식인가?

탐험가 단 2025. 5. 2. 20:57
반응형
반응형

🔍기부채납과 전력계통영향평가, 왜 비교해요?

재건축 재개발 사업에서는 단지 규모가 커질수록 사회적 부담도 커집니다. 예를 들어, 수천 세대가 입주하면

도로가 막힐 수 있고, 전기 사용량이 폭증하며, 학교, 주차장, 공원 등 기반시설도 부족해질 수 있죠!

그래서 정부는 두 가지 방식으로 개발 부담을 '조절' 합니다.

기부채납 : 토지나 건물을 공공에 무상 제공

전력계통영향평가 : 전력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 필요시 보강비 부담

그런데 이 둘은 기능은 비슷하나 구조는 완전히 달라요!

⚖️구조 비교 : 기부채납 vs 전력계통영향평가

구분 기부채납 전력계통영향평가
목적 공공시설 확보 (도로, 공원, 학교 등) 전력 인프라 보강 및 안정성 확보
적용시점 도시계획 단계 (지구단위계획 수립 시) 설계 ~ 인허가 단계 (전기사용 승인 전)
법적근거 국토계획법, 시군구 도시계획조례 등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산업부 고시
부담방식 토지시설 기부 / 간혹 현금화 영향도 분석 → 계통보강비 or 자가대책 요구
보상방식 용적률 인센티브 제공 없음 (필수 절차로만 작용)
협상여지 지자체와 조정 가능 거의 없음 (점수제 + 절차 고정화됨)

💥왜 함께 알아야 해요?

1. 동일한 개발 사업에서 두 제도가 함께 적용됨

→ 예 : 목동, 분당, 상계 같은 대단지 재건축

2. 둘 다 사업비와 일정에 큰 영향을 미침

기부채납은 용적률 보상이 있으나, 전력계통영향평가는 비용만 발생하는 구조

3. 앞으로는 전력계통 영향이 더욱 중요해짐

특히 데이터센터, 스마트홈 도입 등으로 전력 수요 폭증

산업부는 평가를 '인허가 필수요건'으로 명확히 제도화 중

📌 실제 사례로 보는 흐름

사례 적용 예시
서울 성동구 A 재개발 공원 도로 기부채납 (용적률 인센티브 + 5%)
→ 별도 전력계통 평가 요청받아  
→ 변전소 보강비 약 4억원 부담 발생  
경기 성남 B 재건축 초등학교 부지 기부채납 + 도로 신설
→ 1,800 세대 전력계통영향평가 점수 미달  
→ ESS 설치 x EMS 도입 조건부 승인  

📈 앞으로의 흐름은?

흐름 전망
기부채납 현금환산 방식 확대 가능성 (서울시 일부 도입 검토 중)
전력계통영향평가 사전 컨설팅 의무화 확대, 자가보완책 요구 증가
공통점 모두 '사회적 책임 분담' 구조로 제도 강화되는 중

➤ 즉 앞으로는

재건축 재개발의 성공 열쇠 = 기부채납 + 전력망 대응 능력입니다.

🧭 마무리

기부채납과 전력계통영향평가는 같은 목적을 다른 방식으로 풀어내는 규제예요. 

한쪽은 '토지기반' 다른 한쪽은 '에너지기반'의 부담이죠/

재건축 재개발 사업을 준비하는 누구든, 이 두 가지가 함께 적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반드시 인지하는 게 중요해요!

다음 글에서는 "기부채납과 전력계통영향평가, 공공기여 현금화 시대의 도래하나?"에 대해 답해볼게요!

📌함께 보면 좋은 글!

2025.05.02 - [아파트] - [기본편] 기부채납이 뭐길래? 재건축 재개발에서 '용적률 인센티브'와 얽힌 숨은 구조

2025.04.27 - [아파트] - 전력계통영향평가란? 분산에너지 시대 꼭 알아야 할 전력망 안전 절차

2025.04.27 - [아파트] - 재건축 재개발 사업에서 전력계통영향평가를 체크해야 하는 이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