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비인상 2

[4편] 서울 재건축 단지별 수익성 변화 분석 : 공사비 상승에도 수익률 유지 가능한가?

2025년 서울 재건축 시장은 치솟는 공사비와 분양가 속에서도 "수익성 유지"라는 어려운 과제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최근 대규모 정비사업 현장에서는 평균 15~45%의 공사비 증액 합의가 이어지고 있고, 분양가도 3.3㎡당 4500만 원을 돌파하며 역대 최고 수준에 근접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지금 이 시점에서 서울 주요 재건축 단지들의 수익성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을까요?🔹주요 단지 공사비 증액 사례 : 인상률 최대 45.2%2025년 상반기 기준, 서울 수도권 주요 재건축 현장들은 기존 도급 계약을 대거 변경하며 공사비 증액에 합의했습니다. 대표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흑석9구역 (현대건설) : 최초 4490억 > 6519억, 무려 45.2% 인상✨ 대조1구역 (현대건설) : 5800억 >..

아파트 2025.08.07

[3편] 트럼프발 경제충격과 공급축소: 수도권 주택시장 양극화 본격화

2025년 하반기,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복귀와 글로벌 무역 리스크 재부상은 한국 경제에 복합적인 파장을 미치고 있습니다. 수출 둔화와 원자재 가격 상승, 환율 불안정이 부동산 시장에 본격적으로 영향을 주기 시작하면서 수도권 주택시장의 양극화가 더욱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재건축 정비사업지와 신규 분양시장 간, 그리고 서울과 수도권 외곽 간 가격 및 진입장벽 격차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공급절벽 속 분양가 최고치 경신2025년 상반기, 전국 민간 아파트 공급량은 약 4만 2603 가구로, 최근 5년 평균치(9만 2067 가구)의 절반도 채 되지 않습니다. 수도권 공급량은 2분기 들어 증가 추세를 보였지만, 전반적인 공급부족 구조는 지속되고 있습니다. 공급이 줄자 분양가는 연속 상승세를 보였습..

아파트 2025.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