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서울 재건축 시장은 치솟는 공사비와 분양가 속에서도 "수익성 유지"라는 어려운 과제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최근 대규모 정비사업 현장에서는 평균 15~45%의 공사비 증액 합의가 이어지고 있고, 분양가도 3.3㎡당 4500만 원을 돌파하며 역대 최고 수준에 근접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지금 이 시점에서 서울 주요 재건축 단지들의 수익성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을까요?
🔹주요 단지 공사비 증액 사례 : 인상률 최대 45.2%
2025년 상반기 기준, 서울 수도권 주요 재건축 현장들은 기존 도급 계약을 대거 변경하며 공사비 증액에 합의했습니다. 대표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 흑석9구역 (현대건설) : 최초 4490억 > 6519억, 무려 45.2% 인상
✨ 대조1구역 (현대건설) : 5800억 > 8366억, 44.2%
✨ 철산주공8,9단지 (GS건설) : 8776억 > 1조 2979억, 17.3% 인상
이는 대부분 자재값 상승, 시공 난이도 증가, 환율 영향, 기부채납 항목 증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특히 서울 강남권 초고층 설계를 추진하는 압구정, 반포, 성수 일대에서는 이러한 인상이 더 일반화되는 추세입니다.
🔹서울 아파트 분양가 vs 건축비 비교 : 마진은 얼마나 남을까?
서울의 2025년 5월 기준 평균 분양가는 3.3㎡당 4,568만 원. 반면 서울 전체 평균 건축비는 842만 원으로 집계됩니다. 이 격차만 보면 상당한 수익이 예상될 수 있지만, 단지별 건축비 차이를 보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단지 | 분양가 (3.3㎡ 기준) | 건축비 | 수익율 구조 |
방배동 효성빌라 | 1,550만원 | 1,550만원 | 고급 자재 적용, 수익성 낮음 |
신반포2차 (서초) | 1,300만원 | 1,300만원 | 시공 고도화로 원가 증가 |
남양2구역 (용산) | 1,048만원 | 1,048만원 | 삼성물산 제안가 반영 |
리모델링 평균 (서울) | 890만원 | 890만원 | 고급화 흐름 확대 시 마진 축소 |
서울 전체 평균 (2024) | 842만원 | 842만원) | 단순 평균 대비 고급 단지 격차 큼 |
하지만 위 표만 보고 단순 수익률을 예측하기는 어렵습니다. 용적률, 사업기간, 대출이자, 기부채납, 부대비용 등 모든 변수를 포함하면 수익률은 현저히 낮아질 수 있습니다. 실제로 일부 단지에서는 인상된 공사비에도 불구하고 조합원 분담금 인상 없이 사업성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습니다.
🔹세대수, 규모별로 보는 수익성 시뮬레이션
2025년 건물신축가격기준액에 따르면, 대단지일수록 세대당 건축비는 줄어드는 경향이 있습니다. 예를들어,
1,000세대 : 세대당 건축비 약 2억 4,150만 원
2,000세대 : 세대당 건축비 약 2억 2,050만 원
3,000세대 : 세대당 건축비 약 2억 1,000만 원
이는 '규모의 경제; 효과로 고정비용 (설계비, 감리비 등)이 분산되고 자재 구매 단가가 낮아지는 효과입니다. 하지만, 세대수 확대는 입지에 따라 불가능한 경우가 많고, 정비계획 및 교통영향평가 등 제약도 큽니다.
🔹서울 재건축, 여전히 수익형 투자처인가?
✔ 건축비와 분양가 모두 상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 용적률, 입지, 시공사 역량, 부대비용 변수에 따라 수익성은 단지별로 큰 차이 발생
✔ 대단지, 고급화 재건축일수록 고정비 분산과 브랜드 효과로 수익률 유지 가능
👉 정비사업은 단순 수익계산이 아닌 복합적 구조 이해가 필요하며, 입체적 사업성 검토가 필수입니다.
📌 트럼프 관세, 대한민국 부동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세요.
2025.08.03 - [아파트] - [1편] 트럼프 관세정책이 한국 재건축 시장에 미치는 간접 영향 분석
2025.08.03 - [아파트] - [2편] 트럼프 관세 정책과 서울 재건축 단지별 수익성 변화 분석
2025.08.03 - [아파트] - [3편] 트럼프발 경제충격과 공급축소: 수도권 주택시장 양극화 본격화
'아파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3편] 트럼프발 경제충격과 공급축소: 수도권 주택시장 양극화 본격화 (5) | 2025.08.06 |
---|---|
[2편] 트럼프 관세 정책과 서울 재건축 단지별 수익성 변화 분석 (2) | 2025.08.05 |
[1편] 트럼프 관세정책이 한국 재건축 시장에 미치는 간접 영향 분석 (7) | 2025.08.04 |
[압구정 2구역 시리즈 3편] 실수요자 중심 정책과 공급 대책의 균형 필요성 (2) | 2025.07.08 |
[압구정2구역 시리즈 2편] 이주비 전쟁 시작됐다… 대형건설사만 살아남는 구조 (1) | 2025.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