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부동산전망 3

[3편] 트럼프발 경제충격과 공급축소: 수도권 주택시장 양극화 본격화

2025년 하반기,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복귀와 글로벌 무역 리스크 재부상은 한국 경제에 복합적인 파장을 미치고 있습니다. 수출 둔화와 원자재 가격 상승, 환율 불안정이 부동산 시장에 본격적으로 영향을 주기 시작하면서 수도권 주택시장의 양극화가 더욱 뚜렷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재건축 정비사업지와 신규 분양시장 간, 그리고 서울과 수도권 외곽 간 가격 및 진입장벽 격차가 벌어지고 있습니다.▶ 공급절벽 속 분양가 최고치 경신2025년 상반기, 전국 민간 아파트 공급량은 약 4만 2603 가구로, 최근 5년 평균치(9만 2067 가구)의 절반도 채 되지 않습니다. 수도권 공급량은 2분기 들어 증가 추세를 보였지만, 전반적인 공급부족 구조는 지속되고 있습니다. 공급이 줄자 분양가는 연속 상승세를 보였습..

아파트 2025.08.06

[2편] 트럼프 관세 정책과 서울 재건축 단지별 수익성 변화 분석

2025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고강도 보호무역 정책이 다시 전 세계를 흔들고 있습니다. 한국 역시 주요 교역국으로서 관세 직격탄을 맞으며 건설, 부동산 시장에도 간접적 영향을 받고 있는데요. 특히 서울 재건축 단지들의 수익성은 자재비 급등, PF 조달 불안, 분양가 상한 이슈 등이 맞물려 예측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2025년 공사비 인상, 재건축 사업성 흔들다서울 주요 재건축 단지들은 2022 ~ 2025년 사이 대규모 공사비 인상 합의를 연이어 체결하고 있습니다.⚡철산주공 8,9단지 (1조 2979억, 인상률 17.3%)⚡대조 1 구역 (인상률 44.2%)⚡흑석 9 구역 (인상률 45.2%)이는 단순 자재비 상승만이 아닌, 트럼프 관세정책으로 인한 철강, 유리, 기계부품 등 수입단가의 급..

아파트 2025.08.05

이재명 정부, 재초환은 유지... 정비사업 속도는 늦춰질까?

2025년 6월 이재명 대통령의 취임과 함께 부동산 시장에 큰 변화가 예고되었습니다. 특히 재건축, 재개발 규제 완화 공약은 정비사업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를 주었지만, 동시에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재초환)는 유지될 가능성이 높아지며 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이재명 정부의 재초환 정책 방향과 정비사업 추진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란?재초환은 조합원 1인당 초과이익이 8,000만 원을 초과할 경우 최대 50%까지 정부가 환수하는 제도입니다. 2006년 노무현 정부에서 도입됐고, 이명박, 박근혜 정부에서 유예되었다가 문재인 정부에서 부활했습니다. 윤석열 정부는 면제기준을 완화했지만, 이재명 정부는 '공공성 강화'를 이유로 폐지를 검토하지 않고 있습니다.?..

아파트 2025.0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