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수익성 3

[4편] 서울 재건축 단지별 수익성 변화 분석 : 공사비 상승에도 수익률 유지 가능한가?

2025년 서울 재건축 시장은 치솟는 공사비와 분양가 속에서도 "수익성 유지"라는 어려운 과제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최근 대규모 정비사업 현장에서는 평균 15~45%의 공사비 증액 합의가 이어지고 있고, 분양가도 3.3㎡당 4500만 원을 돌파하며 역대 최고 수준에 근접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지금 이 시점에서 서울 주요 재건축 단지들의 수익성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을까요?🔹주요 단지 공사비 증액 사례 : 인상률 최대 45.2%2025년 상반기 기준, 서울 수도권 주요 재건축 현장들은 기존 도급 계약을 대거 변경하며 공사비 증액에 합의했습니다. 대표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흑석9구역 (현대건설) : 최초 4490억 > 6519억, 무려 45.2% 인상✨ 대조1구역 (현대건설) : 5800억 >..

아파트 2025.08.07

[2편] 트럼프 관세 정책과 서울 재건축 단지별 수익성 변화 분석

2025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고강도 보호무역 정책이 다시 전 세계를 흔들고 있습니다. 한국 역시 주요 교역국으로서 관세 직격탄을 맞으며 건설, 부동산 시장에도 간접적 영향을 받고 있는데요. 특히 서울 재건축 단지들의 수익성은 자재비 급등, PF 조달 불안, 분양가 상한 이슈 등이 맞물려 예측이 더욱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2025년 공사비 인상, 재건축 사업성 흔들다서울 주요 재건축 단지들은 2022 ~ 2025년 사이 대규모 공사비 인상 합의를 연이어 체결하고 있습니다.⚡철산주공 8,9단지 (1조 2979억, 인상률 17.3%)⚡대조 1 구역 (인상률 44.2%)⚡흑석 9 구역 (인상률 45.2%)이는 단순 자재비 상승만이 아닌, 트럼프 관세정책으로 인한 철강, 유리, 기계부품 등 수입단가의 급..

아파트 2025.08.05

[3편] 1000세대 vs 2000세대, 재건축 단지 규모에 따라 수익성은 얼마나 달라질까?

🧩 요약재건축 사업에서 "단지 규모가 클수록 무조건 유리하다"는 이야기를 들어보셨나요? 1000세대 vs 2000세대 단지의 사업 구조와 수익성 차이를 비교해 보며, 실제로 규모가 커질수록 분담금은 줄고 수익은 늘어나는지 시뮬레이션으로 확인해 보겠습니다.🧮 가정 조건항목1000세대 단지2000세대 단지조합원 비율70% (700세대)70% (1400세대)일반분양 비율30% (300세대)30% (600세대)평균 건축비3.6억 / 세대3.4억 / 세대 (규모의 경제)총 사업비약 3600억약 6800억일반분양가11억10.8억 (공급물량 증가 반영)시세13억 동일 (입지 가정 일치)💰분담금 시뮬레이션 비교📍1000세대 단지일반분양 수익 = 300세대 x 11억 = 3300억총 사업비 = 3600억조합 부담..

아파트 2025.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