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공공재개발 이주비는 실제 얼마까지 나올까? 금액 산정 기준 완벽 정리

탐험가 단 2025. 5. 3. 01:56
반응형
반응형

🧩 요약

공공재개발사업에서 이주비는

기존 원주민이 임시 거처로 옮길 때 받는 핵심 지원금입니다.

하지만 "이주비가 얼마나 나오는지", "대출한도는 어떻게 정해지는지"는 현장에서도 혼동이 많은 부분이죠.

이번 글에서는 이주비의 산정 기준, 실제 수령 사례, 조건별 차이를 정확히 정리해 보겠습니다!

🧾 이주비란?

이주비는 강제이주를 수반하는 재개발 과정에서

원주민의 주거이전 비용을 지원하기 위해 제공되는 금전입니다.

보조금이 아닌, '이주비 대출' 형태로 지급되는 경우가 일반적이에요.

💰실제 이주비 산정 기준

항목 내용
기준금액 감정평가액을 기준으로 함
대출한도 보통 감정가의 최대 70~80% 수준
상환시점 입주 시점 또는 이주 후 일정기간 내 상환 조건
금리 공공기관 협약금리 적용 (변동 가능)

✅예시

감정가 5억짜리 주택 소유자

→ 최대 이주비는 3.5~ 4억 수준 가능

→ 실제는 대출심사 및 협약 조건에 따라 달라짐

📌 SH vs LH vs 민간 재개발 비교

구분 SH LH 민간 재개발
대출주제 SH공사  or 협약 금융사 LH + 제휴 금융사 시공사 + 조합 PF대출
대출한도 감정가 기준 80%까지 가능 LH 가이드 따름 조합 재량 (70~80%)
상환조건 입주 시 일괄 상환 or 중도상환 유사함 일부는 중도상환 요구
이자부담 협약금리 적용 (연2~3%) 유사 PF 금리 반영 → 5~7% 가능

⚠️자주 묻는 오해 Q&A

이주비는 그냥 주는 돈인가요?

아닙니다. 대부분 대출입니다. 무상지원이 아니에요!

세입자도 이주비 받을 수 있나요?

경우에 따라 임시 거주지 제공이나 소액지원금이 있지만, 이주비 대출은 소유자 기준으로 제공됩니다!

감정평가액은 언제 확정되나요?

보통 관리처분인가 이후, 조합 또는 공공기관이 실시합니다.

🧾실제 수령 사례 요약

사례 위치 감정가 실제 이주비
서울 A구역 단독주택 도심재개발 5.8억 약 4.1억
수도권 B구역 아파트 공공재개발 4.5억 약 3.3억
지방 C구역 연립주택 LH 재개발 3.2억 약 2.4억

🧩참고 : LH, SH 공사 홈페이지 및 공공협의회 회의록 근거 작성

📌 결론 : 이주비, 꼭 체크해야 할 3가지

1️⃣ 감정가 기준이 다르다 → 인근 시세와 다를 수 있음!

2️⃣ 대출이자발생  → 실제 부담 고려해야 함!

3️⃣ 지자체 및 사업방식에 따라 차이 있음  → SH vs LH vs 민간은 다르게 적용

📚공공 재개발 이주비에 대해 알아보자

2024.09.27 - [아파트] - 공공재개발사업 원주민 이주민 지원 정책

반응형